KAIST에서 다음의 3분야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박사후연구원 2명을
경북대 SW재난연구센터의 지원으로 모집합니다.
– 소프트웨어 동적 테스팅
– 소프트웨어 정적 분석
– 프로그래밍 언어
자세한 사항은 카이스트 김문주 교수(moonzoo.kim@gmail.com) 또는 경북대학교 최윤자 교수(kaisertoto@gmail.com) 으로 문의 바랍니다.
KAIST에서 다음의 3분야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박사후연구원 2명을
경북대 SW재난연구센터의 지원으로 모집합니다.
– 소프트웨어 동적 테스팅
– 소프트웨어 정적 분석
– 프로그래밍 언어
자세한 사항은 카이스트 김문주 교수(moonzoo.kim@gmail.com) 또는 경북대학교 최윤자 교수(kaisertoto@gmail.com) 으로 문의 바랍니다.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제9회 소프트웨어공학 단기전문가강좌2021년 7월 13일(화) / 20일(화), 온라인 |
주제: 프로그램 합성 [ 2021 단기전문가강좌 ]
일시: 2021.07.13(화) 오전 9:00 ~ 오후 6:00 / 20(화) 오전 9:00 ~ 오후 6:00
장소: 온라인 (참여 링크 추후 등록메일로 공지)
주최: 한국정보과학회
주관: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등록: ~ 2021. 7. 9. 까지
(30명 선착순/별도의 현장 등록은 없습니다.)
2021년 6월 14일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회장 홍 장 의
|
강사: 이우석 교수 (한양대 에리카 캠퍼스)
예제로부터 프로그램 코드를 자동으로 학습하는 기술을 귀납적 프로그래밍(inductive programming) 또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합성(program synthesis)이라고 한다. 최근 프로그램 합성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으며, MS Excel의 FlashFill과 같이 여러 상용 제품에서도 엔드 유저를 위한 프로그램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본 단기 강좌에서는 프로그램 합성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갖추고, 용도에 알맞게 사용하는 방법을 다룬다. 또한 현재까지 제안된 다양한 프로그램 합성 전략을 통해 프로그램 합성 분야의 동향을 소개한다. 프로그램 합성 기술 관련 도구인 PROSE SDK를 사용하여 직접 프로그램 합성기를 만들어 봄으로써 실제적인 도구 활용 방법도 익힌다.
|
학습목표
(1) 프로그램 합성 기술에 대한 이해를 갖추고, 용도에 알맞게 사용하는 방법을 익힌다. |
|
사전지식
(1) 일차 술어논리 (first order logic) 및 형식 문법 중 문맥 둔감 문법 (context-free grammar) 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
7/13 (화) | 강사: 이우석 교수 (한양대 에리카 캠퍼스) |
09:00 – 10:00 | 프로그램 합성 소개 (Introduction to program synthesis, SMT, Syntax-guided synthesis) |
10:00 – 11:00 | 합성전략 1: 하나씩 나열해보며 찾기 (Bottom-up / Top-down enumerative search) |
11:00 – 12:00 | 탐색 공간 줄이기 (search space pruning) |
12:00 – 13:00 | 중식 |
13:00 – 13:30 | 실습 1 – SyGuS 포맷 소개 및 EUSolver 사용해보기 |
13:30 – 14:30 | 통계모델 기반 탐색 우선 순위 매기기 (search space prioritization) |
14:30 – 15:00 | 실습 2 – Euphony 로 통계모델 학습 및 적용해보기 |
15:00 – 16:00 | 합성전략 2: 양방향 탐색 전략 (Bidirectional synthesis strategy) |
16:00 – 17:30 | 합성전략 3: 효율적으로 여러 프로그램 찾기 (representation-based search) |
17:30 – 18:00 | 실습 3 – Duet 사용해보기 |
7/20 (화) | 2일차: |
09:00 – 09:30 | 합성전략 4: 랜덤하게 바꾸며 찾기 (stochastic search) |
09:30 – 12:00 | 합성전략 5: 제약식을 풀어서 찾기 (constraint based search) |
12:00 – 13:00 | 중식 |
13:00 – 14:00 | 연역합성 (deductive synthesis) 전략들 소개 |
14:00 – 15:00 | 프로그램 합성 응용: 비 개발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프로그램 최적화 |
15:00 – 18:00 | 실습 4 – Mircrosoft PROSE SDK 를 사용한 자바 스크립트 프로그램 합성기 작성 |
등록인원 | 등록비 |
선착순 30명 | 학생 30만원 / 일반 40만원 |
(현장 등록은 별도로 없습니다/무통장입금, 카드결제 모두 가능: 청구서 발행 가능)
http://kcse2021.userinsight.co.kr/ [KCSE 2021 사진 링크] [프로그램북] [KCSE2021-proceedings-v9]
▣ 일시: 2021년 2월 1일(월) – 2월 2일(화)
▣ 주최: 한국정보과학회, 한국정보처리학회
▣ 주관: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한국정보처리학회 소프트웨어공학연구회
▣ 후원: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솔루션링크, ㈜비트컴퓨터, ㈜이에스지, STA테스팅컨설팅㈜, T3Q㈜
한국소프트웨어기술진흥협회(KOSTA), ㈜다한테크, 슈어소프트테크㈜
▣ 모시는 글
소프트웨어공학 학술대회(KCSE 2021) 참가자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KCSE (Korea Conference on Software Engineering)는 기업, 연구소 및 학계에서 활동하고 계신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전문가들의 모임으로,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와 한국정보처리학회 소프트웨어공학연구회가 소프트웨어공학 기술의 발전 및 적용 확산을 위하여 1999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학술대회입니다.
이번 제23회 학술대회는 “비대면 시대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공학 기술”을 주제로, 기조 연설, 튜토리얼, 신진 연구자 발표, 우수 논문 발표 등의 초청 세션과 소프트웨어공학 분야의 각계에서 제출한 엄선된 40편의 논문으로 구성하였으며, 2021년 2월 1일부터 2일간에 걸쳐 비대면으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가 비록 온라인으로 진행되어 아쉽지만, 소프트웨어공학의 학문적 발전과 소프트웨어 산업기술 발전의 장이 되고, 학술 교류 및 기술 협력을 위한 활발한 토론장이 될 수 있도록 가상 공간에서의 즐거운 만남으로 여러분을 초대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제23회 KCSE 학술행사를 위해 수고해 주신 조직위원회와 학술위원회 위원들, 후원 기관 관계자 여러분, 그리고 기조 연설을 포함한 학술대회 모든 발표자분들께 깊이 감사드리며 건승을 기원합니다.
KCSE 2021 공동대회장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소사이어티 홍장의
한국정보처리학회 소프트웨어공학연구회 김정아
▣ 기조강연
▣ 튜토리얼
▣ 우수 국제학회/학술지 초청 논문발표
▣ 신진 연구자 초청 발표
▣ 프로그램
2020년 2월 1일 (Day 1) | ||
시간 | 세션 1 | 세션 2 |
9:30 ~ 10:00 | 개회식 / 학술대회 공지 | |
10:00 ~ 10:50 | 기조연설 1 | |
11:00 ~ 11:50 | 튜토리얼 #1 | 신진연구자 소개 #1 |
11:50 ~ 13:10 | 점심식사 | |
13:10 ~ 14:00 | 튜토리얼 #2 | 신진연구자 소개 #2 |
14:10 ~ 15:00 | 논문발표 #1 | 신진연구자 소개 #3 |
15:10 ~ 16:00 | 논문발표 #2 | 논문발표 #3 |
16:10 ~ 17:00 | 논문발표 #4 | 논문발표 #5 |
17:10 ~ 18:00 | 논문발표 #6 | 논문발표 #7 |
18:00 ~ 18:10 | 마무리 |
2020년 2월 2일 (Day 2) | ||
시간 | 세션 1 | 세션 2 |
9:30 ~ 9:50 | 개회식 / 학술대회 공지 | |
10:00 ~ 10:50 | 튜토리얼 #3 | 신진연구자 소개 #4 |
11:00 ~ 11:50 | 논문발표 #8 | 논문발표 #9 |
11:50 ~ 13:10 | 점심식사 | |
13:10 ~ 14:00 | 논문발표 #10 | 논문발표 #11 |
14:10 ~ 15:00 | 논문발표 #12 | 논문발표 #13 |
15:10 ~ 16:00 | 논문발표 #14 | 논문발표 #15 |
16:10 ~ 17:00 | 기조연설 2 | |
17:10 ~ 18:00 | 상장 수여 및 경품 추첨 | |
18:00 ~ 18:10 | 마무리 |
▣ 참가등록
▣ 학술대회 조직 구성
https://sigsoft.or.kr/KCSE2021/
▣ 일시: 2021년 2월 1일(월) – 2월 2일(화)
▣ 주관: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한국정보처리학회 소프트웨어공학연구회
한국정보과학회와 한국정보처리학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정보과학회의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와 한국정보처리 학회의 소프트웨어공학 연구회가 공동 주관하는 “2021 한국 소프트웨어공학 학술대회 (KCSE 2021)”가 2021년 2월 1 일부터 2월 2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됩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비대면 시대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공학 기술”을 주제로 다양한 논문 발표 및 토론이 있을 예정입니다. 이에 아래와 같이 논문을 모집하오니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학회 장소 및 진행: 방역을 위해 KCSE 2021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온라인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시상식과 기조연설 일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준수하며 서울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하는 것을 계획 중입니다
▣ 논문 모집 분야
아래 나열된 분야를 포함하여 소프트웨어공학 전 분야의 논문을 모집합니다.
▣ 논문 접수
논문 성격에 따라 아래와 같은 트랙으로 구분하여 접수합니다.
일반(Regular) 논문: 대학, 연구소 또는 기업에서 수행한 이론, 실험, 아이디어 제시 위주의 논문 (8-10쪽)
단편(Short) 논문: 대학, 연구소 또는 기업에서 수행한 이론, 실험, 아이디어 제시 위주의 논문 (2-4쪽)
산업체 논문: 소프트웨어 공학의 각종 기법을 실제 업무에 적용한 논문 (4-8쪽 논문 또는 발표자료)
박사학위 논문: 2018년도 이후에 소프트웨어공학 분야의 박사학위를 취득했거나 예정인 논문 (2쪽)
학부생 논문: 학부생이 수행한 프로젝트, 이론/실험, 아이디어 위주의 논문 (4-8쪽 논문 또는 발표자료)
튜토리얼 제안서: 개인이나 팀을 구성하여 제안
※ 제출된 일반논문 중 우수논문을 선정하여 한국정보과학회 논문지 및 한국정보처리학회 논문지 게재 추천
※ 전체 논문 중 우수논문을 선정하여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논문지에 게재 추천
▣ 주요 일정
튜토리얼 제안서 접수: 2020년 12월 4일 (금) – 결과는 일주일 내에 통보합니다.
논문 접수 마감: 2020년 12월 14일 (월) 2020년 12월 21일 (월) – 온라인 발표 준비 기간 확보를 위해 이번이 최종 연장입니다.
심사 결과 통보: 2021년 1월 8일 (금)
최종 원고 및 온라인 학회를 위한 발표 동영상 제출: 2021년 1월15일 (금)
▣ 논문 및 제안서 제출
논문 양식: https://sigsoft.or.kr/category/자료실/기타
논문 제출: https://easychair.org/conferences/?conf=kcse2021
튜토리얼 제안서는 학술위원장에게 이메일로 제출해주시기 바랍니다.
기타 문의는 KAIST 유 신 교수(shin.yoo@kaist.ac.kr, 042-350-3567)에게 하시면 됩니다.
▣ 학술대회 조직 구성
대회장: 홍장의 교수 (충북대학교), 김정아 교수 (카톨릭 관동대)
조직위원장: 김순태 교수 (전북대학교)
학술위원장: 유 신 교수 (KAIST)
2020년 11월호 (Vol.29, No.2)
ICSE 2020, KIP 프로그램 안내
안녕하세요.
ICSE 2020 행사중 오프라인 미팅으로 진행하는 행사가 7월 6일(월) 1시부터 5시까지
양재동 aT 센터에서 개최됩니다.
https://2020.icse-conferences.org/track/icse-2020-korean-co-located-events#KIP
KIP 프로그램은 한국 기업에서의 소프트웨어공학의 적용 기술에 대한 소개의 워크샵입니다.
많이 참석하셔서 좋은 스토리 들으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30명 정도의 규모로 진행하려고 하는데, 아직 등록이 많이 미흡한 것 같습니다.
온라인으로는 6월 30일까지, 오프라인으로는 현장 등록이 가능합니다.
ICSE 2020 main conference와는 별도의 등록으로 진행됩니다.
앞의 링크에서 등록 링크를 따라 가시면 됩니다.
Virtual 이 아닌 현장 미팅의 잇점도 느껴 주시기를 바랍니다.
철저한 방역 관리와 안심 거리 두기로 진행되오니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ICSE 2020 K-CLE Co-Chair 홍장의 드림.
2020년 3월호 (Vol.29, No.1)
https://www.sigsoft.or.kr/KCSE2020/
▣ 일시: 2020년 2월 3일(월) – 2월 5일(수)
▣ 장소: 강원도 평창 한화리조트 (휘닉스파크점)
▣ 주최: 한국정보과학회, 한국정보처리학회
▣ 주관: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한국정보처리학회 소프트웨어공학연구회
▣ 후원: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솔루션링크, ㈜비트컴퓨터, ㈜모아소프트, ㈜이에스지,
한국소프트웨어기술진흥협회(KOSTA), T3Q㈜, ㈜다한테크, 슈어소프트테크㈜, ㈜온페이스, STA테스팅컨설팅㈜,
TTA소프트웨어시험인증연구소, ㈜에스피아이디, 신뢰적 지능형 CPS 연구단
▣ 모시는 글
소프트웨어공학인의 축제인 제 22회 한국 소프트웨어공학 학술대회(KCSE 2020) 참가자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기업, 연구소 및 학계에서 활동하고 계신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전문가들의 모임인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와 한국정보처리학회 소프트웨어공학연구회는 소프트웨어공학 기술의 발전 및 적용확산을 위하여 산, 학, 연과의 협력으로 한국 소프트웨어공학 학술대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인공지능(AI)이 널리 확산되어 스스로 사람처럼 학습하고 판단하여 그 결과를 빠르고 정확하게 보여주어 세상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기술과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핵심은 소프트웨어 기술이므로 KCSE 2020 학술대회에서는 “AI를 완성하는 소프트웨어공학 기술”을 주제로 하여 소프트웨어공학 분야의 각계에서 제출한 81편의 논문이 발표됩니다.
먼저, 스마트 SW 개발, 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 그리고 포스트 휴머니즘, 데이터 중심 혁신을 통한 AI 응용 구축 등 소프트웨어공학의 중요한 이슈와 미래방향에 대하여 세 분의 저명인사께서 기조강연을 해 주십니다. 또한 ADOxx Meta-Modeling Platform, Concolic 유닛 테스팅, SW 안전 확보를 위한 기법, 블록체인, 의미 기반 프로그램 수정 등의 최근 기술 동향과 소프트웨어공학의 핵심기술을 학습할 수 있는 튜토리얼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특히, 우수국제학술대회 논문 3편, 우수국제저널 논문 2편,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논문지 논문 2편을 초청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했습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테스트 환경 순위화, 자동 패치 생성, 프로그램 분석을 위한 휴리스틱 학습 등의 최근 연구 주제에 대하여 세 분의 박사께서 세미나를 해 주십니다.
본 학술대회가 소프트웨어공학의 학문적 발전과 소프트웨어 산업기술 발전의 장이 되고, 학술 교류 및 기술 협력을 위한 활발한 토론장이 될 수 있도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본 KCSE 2020 행사를 위해 수고해 주신 조직위원회와 학술위원회 위원들과 여러 후원 기관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 기조강연
▣ 튜토리얼
▣ 우수 국제학회/학술지 초청 논문발표
▣ 신진 연구자 초청 발표
▣ 프로그램
▣ 만찬 초청공연
▣ 참가등록
▣ 학술대회 조직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