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시는 글 소프트웨어공학 학술대회(KCSE 2025) 참가자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KCSE (Korea Conference on Software Engineering)는 기업, 연구소 및 학계에서 활동하고 계신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전문가들의 모임으로,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와 한국정보처리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연구회가 소프트웨어공학 기술의 발전 및 적용 확산을 위하여 1999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학술대회입니다. 이번 제27회 학술대회는 “지능형 개발 기술과 소프트웨어 공학의 미래”를 주제로, 기조 연설, 튜토리얼, 신진 연구자 발표, 우수논문 발표 등의 초청 세션과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각계에서 제출한 63편의 엄선된 논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번 KCSE 2025 학술대회가 소프트웨어공학을 연구하고, 적용하는 모든 연구자 그리고 전문가 여러분께 즐겁고 활기찬 학술 교류 및 기술 협력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회장 이정원 한국정보처리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연구회 운영위원장 유준범
▣ 기조강연
기조강연 1: 정진민 부사장 (삼성전자 Samsung Research S/W혁신센터): “AI for Software Engineering”
기조강연 2: 강성원 교수 (KAIST 전산학부): “재사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산출물 모델링”
▣ 튜토리얼
강성민 박사 (KAIST): 언어모델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시험 및 오류 분석
김미정 교수 (UNIST): 딥러닝 API 퍼징
김태호 교수 (서울여대): 멀티코어 프로세서를 고려한 항공 SW 인증: DO-178B Level A 인증 10 주년
백두산 박사 (KT 기술혁신본부): LLM 기반 Agent에 대한 이해와 테스팅 방법
▣ 우수 국제학회/학술지 초청 논문발표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LLM-based Explainable Fault Localization”, FSE 2024, 강성민(KAIST)
“AsFuzzer: Differential Testing of Assemblers with Error-Driven Grammar Inference”, ISSTA 2024, 김형석 (NSR)
“Cneps: A Precise Approach for Examining Dependencies among Third-Party C/C++ Open-Source Components”, ICSE 2024, 나종원 (고려대)
“Effective Unit Test Generation for Java Null Pointer Exceptions”, ASE 2024, 오학주 (고려대)
“Evaluating and Improving Adversarial Robustness of Deep Learning Models for Intelligent Vehicle Safety”, IEEE Transactions on Reliability 2024, Manzoor Hussain (충북대)
“Fuzzing JavaScript Interpreters with Coverage-Guided Reinforcement Learning for LLM-Based Mutation”, ISSTA 2024, 권태경 (연세대)
“Just-in-Time Flaky Test Detection via Abstracted Failure Symptom Matching”, ICSME 2024, 안가빈 (Roku Inc.)
“NeuroJIT: Improving Just-In-Time Defect Prediction Using Neurophysiological and Empirical Perceptions of Modern Developers”, ASE 2024, 이기찬 (한양대)
“Non-Flaky and Nearly-Optimal Time-based Treatment of Asynchronous Wait Web Tests”, TOSEM 2024, 손정주 (경북대)
“PBE-based Selective Abstraction and Refinement for Efficient Property Falsification of Embedded Software”, ASE 2024, 김요엘 (경북대)
“Preserving Reactiveness: Understanding and Improving the Debugging Practice of Blocking-Call Bugs”, ISSTA 2024, 김동선 (고려대)
“ZigZagFuzz: Interleaved Fuzzing of Program Options and Files”, TOSEM (accepted in 2024), 이아청 (KAIST)
▣ 신진 연구자 초청 발표
권령구 박사 (경기대): 강화 학습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위한 반례 기반 클러스터링 및 MDP-PPO 하이브리드 접근법
백경덕 박사 (KAIST): 공용 공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공지능 및 소프트웨어 공학 접근법
▣ 모시는 글 한국정보과학회와 한국정보처리학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정보과학회의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와 한국정보처리학회의 소프트웨어공학 연구회가 공동 주관하는 “제27회 한국 소프트웨어공학 학술대회(KCSE 2025)”가 2025년 1월 20일부터 1월 22일까지 평창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지능형 개발 기술과 소프트웨어 공학의 미래”를 주제로 다양한 발표와 토론이 있을 예정입니다. 논문 모집과 학회 행사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논문모집 아래 나열된 분야를 포함하여 소프트웨어공학 전 분야의 논문을 모집합니다.
▶︎AI and Software Engineering ▶︎Agile Methodologies▶︎Auto-coding ▶︎Autonomic and (self-) Adaptive Systems ▶︎Blockchain Platform/Blockchain based Software Systems ▶︎Cloud and Service Oriented Computing ▶︎Component-based Software Engineering ▶︎Configuration Management and Deployment ▶︎Cooperative, Distributed, and Collaborative Software Engineering ▶︎Debugging, Fault Localization, and Repair ▶︎Dependability, Safety, and Reliability ▶︎Embedded & Realtime Systems ▶︎Empirical Software Engineering ▶︎End-user Software Engineering ▶︎Formal Methods ▶︎Green and Sustainable Technologies ▶︎Human Factors and Social Aspects of Software Engineering ▶︎IoT and CPS ▶︎Middleware, Frameworks, and APIs
▶︎Mining Software Repository ▶︎Mobile and Pervasive Software Systems ▶︎Model-Driven and Domain Specific Engineering ▶︎Parallel, Distributed, and Concurrent Systems ▶︎Program Languages and Systems ▶︎Program Analysis, Synthesis, and Verification ▶︎Refactoring ▶︎Requirements Engineering ▶︎Reverse Engineering ▶︎Search-based Software Engineering ▶︎Security, Privacy and Trust ▶︎Software Architecture, Modeling and Design ▶︎Software Comprehension, Visualization and Traceability ▶︎Software Economics and Metrics ▶︎Software Engineering Education ▶︎Software Evolution and Maintenance ▶︎Software Process and Standards ▶︎Software Product Line Engineering ▶︎Software Reuse ▶︎Software Safety and Reliability ▶︎System of Systems ▶︎Testing, Verification and Validation
▣ 논문 접수
논문 성격에 따라 아래와 같은 트랙으로 구분하여 접수합니다.
일반(Regular) 논문: 대학, 연구소 또는 기업에서 수행한 이론, 실험, 아이디어 제시 위주의 논문(8-10쪽)
단편(Short) 논문: 대학, 연구소 또는 기업에서 수행한 이론, 실험, 아이디어 제시 위주의 논문(3-4쪽)
산업체 논문: 소프트웨어 공학의 각종 기법을 실제 업무에 적용한 논문(3-4쪽 논문 또는 8-12장 발표자료)
학부생 논문: 학부생이 수행한 프로젝트, 이론/실험, 아이디어 위주의 논문(3-4쪽 논문)
튜토리얼 제안서: 개인이나 팀을 구성하여 제안
※ 트랙별 우수논문을 선정하여 시상할 예정이며, 일반 및 단편 논문 중 우수논문을 선정하여 한국정보과학회 논문지 및 한국정보처리학회 논문지에 게재 추천
▣ 논문 접수 주요 일정
논문 접수 일정: 2024년 11월 1일(금) ~ 2024년 12월 20일(금)2024년 12월 27일(금) 2024년 12월 30일(월) (최종연장)
– 일시: 2024년 1월 31일(수) – 2월 2일 (금) – 주최: 한국정보과학회, 한국정보처리학회 – 주관: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한국정보처리학회 소프트웨어공학연구회 – 장소: 강원도 휘닉스 평창 한화리조트 – 후원: ㈜솔루션링크, ㈜비트컴퓨터, ㈜이에스지, ㈜다한테크, 브이플러스랩㈜, 슈어소프트테크㈜, TTA소프트웨어시험인증연구소, T3Q㈜
▣ 모시는 글
소프트웨어공학 학술대회(KCSE 2024) 참가자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KCSE (Korea Conference on Software Engineering)는 기업, 연구소 및 학계에서 활동하고 계신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전문가들의 모임으로,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와 한국정보처리학회 소프트웨어공학연구회가 소프트웨어공학 기술의 발전 및 적용 확산을 위하여 1999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학술대회입니다. 이번 제26회 학술대회는 “거대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공학 기술” 주제로, 기조 연설, 튜토리얼, 신진 연구자 발표, 우수 논문 발표 등의 초청 세션과 소프트웨어공학 분야의 각계에서 제출한 논문 발표로 구성될 예정이며, 2024년 1월 31일부터 3일간에 걸쳐 진행합니다. 이번 KCSE 2024 학술대회가 소프트웨어공학을 연구하고, 적용하는 모든 연구자 그리고 전문가 여러분께 즐겁고 활기찬 학술 교류 및 기술 협력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행하고자 하오니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회장 고인영 한국정보처리학회 소프트웨어공학연구회 운영위원장 이은서
▣ 기조강연
기조강연 1: “대규모언어모델과 소프트웨어 공학 – 역사, 현황, 전망대규모”, 유신 교수 (KAIST)
기조강연 2: ChatGPT 1년, 초거대 AI 시대가 불러온 변화와 우리의 대응전략, 하정우 센터장 (Naver Cloud)
▣ 튜토리얼
박재호 전무 (㈜레인보우브레인): “LLM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공학의 문제 해결”
김동환 연구위원 (LIG넥스원): “유무인 복합체계의 소개와 참조 아키텍처 개발 전략
강종구 교수 (성신여대) : “미래 모빌리티의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기반 혁신”
▣ 우수 국제학술대회/학술지 초청 논문발표
FunProbe: Probing Functions from Binary Code through Probabilistic Analysis, FSE2023, 김수민(KAIST)
WINE: Warning Miner for Improving Bug Finders. IST, 남재창(한동대)
Deceiving Humans and Machines Alike: Search-based Test Input Generation for DNNs using Variational Autoencoders, TOSEM, 강성민 (KAIST)
An Empiric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Issue Label Prediction, MSR2023, 허주은(경상국립대)
Automated Program Repair from Fuzzing Perspective, ISSTA2023, 한승헌(UNIST)
Intent-Driven Mobile GUI Testing with Autonomous Large Language Model Agents, ICST, 윤주연(KAIST)
EtherDiffer: Differential Testing on RPC Services of Ethereum Nodes, FSE2023, 김신해(국가보안기술연구소)
A Bayesian Framework for Automated Debugging, ISSTA2023, 강성민(KAIST)
Poracle: Testing Patches Under Preservation Conditions to Combat the Overfitting Problem of Program Repair, TOSEM, 이주용(UNIST)
Dynamic and Effect-driven Output Service Selection for IoT, 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백경덕(KA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