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 개발 기술과 소프트웨어 공학의 미래”
https://sigsoft.or.kr/kcse2025

KCSE2025: 프로그램 북 | Proceeding 다운로드

▣ 행사개요

  • 일시: 2025년 1월 20일(월) ~ 1월 22일(수)
  • 주최: 한국정보과학회, 한국정보처리학회
  • 주관: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한국정보처리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연구회
  • 장소: 강원도 평창군 한화리조트 평창
  • 후원: ㈜솔루션링크, ㈜비트컴퓨터, ㈜포멀웍스, ㈜이에스지, ㈜다한테크, 브이플러스랩㈜, 슈어소프트테크㈜, TTA소프트웨어시험인증연구소, ㈜모아소프트

▣ 모시는 글
소프트웨어공학 학술대회(KCSE 2025) 참가자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KCSE (Korea Conference on Software Engineering)는 기업, 연구소 및 학계에서 활동하고 계신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전문가들의 모임으로,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와 한국정보처리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연구회가 소프트웨어공학 기술의 발전 및 적용 확산을 위하여 1999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학술대회입니다. 이번 제27회 학술대회는 “지능형 개발 기술과 소프트웨어 공학의 미래”를 주제로, 기조 연설, 튜토리얼, 신진 연구자 발표, 우수논문 발표 등의 초청 세션과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각계에서 제출한 63편의 엄선된 논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번 KCSE 2025 학술대회가 소프트웨어공학을 연구하고, 적용하는 모든 연구자 그리고 전문가 여러분께 즐겁고 활기찬 학술 교류 및 기술 협력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회장 이정원
한국정보처리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연구회 운영위원장 유준범

▣ 기조강연

  • 기조강연 1: 정진민 부사장 (삼성전자 Samsung Research S/W혁신센터): “AI for Software Engineering”
  • 기조강연 2: 강성원 교수 (KAIST 전산학부): “재사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산출물 모델링”

▣ 튜토리얼

  • 강성민 박사 (KAIST): 언어모델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시험 및 오류 분석
  • 김미정 교수 (UNIST): 딥러닝 API 퍼징
  • 김태호 교수 (서울여대): 멀티코어 프로세서를 고려한 항공 SW 인증: DO-178B Level A 인증 10 주년
  • 백두산 박사 (KT 기술혁신본부): LLM 기반 Agent에 대한 이해와 테스팅 방법

▣ 우수 국제학회/학술지 초청 논문발표

  •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LLM-based Explainable Fault Localization”, FSE 2024, 강성민(KAIST)
  • “AsFuzzer: Differential Testing of Assemblers with Error-Driven Grammar Inference”, ISSTA 2024, 김형석 (NSR)
  • “Cneps: A Precise Approach for Examining Dependencies among Third-Party C/C++ Open-Source Components”, ICSE 2024, 나종원 (고려대)
  • “Effective Unit Test Generation for Java Null Pointer Exceptions”, ASE 2024, 오학주 (고려대)
  • “Evaluating and Improving Adversarial Robustness of Deep Learning Models for Intelligent Vehicle Safety”, IEEE Transactions on Reliability 2024, Manzoor Hussain (충북대)
  • “Fuzzing JavaScript Interpreters with Coverage-Guided Reinforcement Learning for LLM-Based Mutation”, ISSTA 2024, 권태경 (연세대)
  • “Just-in-Time Flaky Test Detection via Abstracted Failure Symptom Matching”, ICSME 2024, 안가빈 (Roku Inc.)
  • “NeuroJIT: Improving Just-In-Time Defect Prediction Using Neurophysiological and Empirical Perceptions of Modern Developers”, ASE 2024, 이기찬 (한양대)
  • “Non-Flaky and Nearly-Optimal Time-based Treatment of Asynchronous Wait Web Tests”, TOSEM 2024, 손정주 (경북대)
  • “PBE-based Selective Abstraction and Refinement for Efficient Property Falsification of Embedded Software”, ASE 2024, 김요엘 (경북대)
  • “Preserving Reactiveness: Understanding and Improving the Debugging Practice of Blocking-Call Bugs”, ISSTA 2024, 김동선 (고려대)
  • “ZigZagFuzz: Interleaved Fuzzing of Program Options and Files”, TOSEM (accepted in 2024), 이아청 (KAIST)

▣ 신진 연구자 초청 발표

  • 권령구 박사 (경기대): 강화 학습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위한 반례 기반 클러스터링 및 MDP-PPO 하이브리드 접근법
  • 백경덕 박사 (KAIST): 공용 공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공지능 및 소프트웨어 공학 접근법
  • 송지영 교수 (한남대): 시스템 오브 시스템즈와 소프트웨어 공학

▣ 참가등록

  • 참가등록비(조식 2회, 중식 1회, 석식 2회 포함)
구분일반학생학부/주니어
사전등록(1.12)260,000원200,000원90,000원
현장등록280,000원220,000원110,000원
  • 한국정보과학회 회원/비회원 참가비 동일
  • 사전등록 사이트: https://www.kiise.or.kr/conference/conf/164/ 2025년 1월 12일 까지
  • 참가등록문의: 한국정보과학회 오다름 대리 (Email: dareum89@kiise.or.kr, Tel. 070-4800-4012)
    • 납입증명서, 참가확인서(행사종료 후) 요청 가능
  • 기타문의
    • 행사관련: 건국대 유준범 교수 (Email: jbyoo@konkuk.ac.kr)
    • 논문관련: 충북대 홍신 교수 (Email: hongshin@gmail.com)

▣ 학술 대회 조직 구성

  • 대회장: 이정원 교수(아주대), 유준범 교수(건국대)
  • 조직위원장: 유준범 교수(건국대)
  • 조직위원:  김순태 교수(전북대), 남재창 교수(한동대), 류덕산 교수(전북대), 민상윤 대표(솔루션링크), 백종문 교수(KAIST), 유신 교수(KAIST), 이주용 교수(UNIST), 정세진 교수(진주교대), 김태호 교수(서울여대), 전진옥 사장(비트컴퓨터)
  • 학술위원장: 홍신(충북대)
  • 학술위원: 강종구 교수(성신여대), 강지훈 교수(KAIST), 고인영 교수(KAIST), 김동선 교수(고려대), 김문주 교수(KAIST), 김미정 교수(UNIST), 김윤호 교수(한양대), 김정아 교수(가톨릭관동대), 김진대 교수(서울과학기술대), 김진현 교수(경상대), 김태호 교수(서울여대), 김택수 박사(삼성전자), 남재창 교수(한동대), 류덕산 교수(전북대), 마유승 박사(ETRI), 박수진 교수(서강대), 박지훈 교수(충남대), 배경민 교수(POSTECH), 서영석 교수(영남대), 손정주 교수(경북대), 송지영 교수(한남대), 안성수 교수(경상대), 양근석 교수(한경대), 오학주 교수(고려대), 윤회진 교수(협성대), 이관우 교수(한성대), 이선아 교수(경상대), 이우석 교수(한양대), 이은서 교수(안동대), 이은주 교수(경북대), 이지현 교수(전북대), 이찬근 교수(중앙대), 이희진 교수(동양미래대), 정우성 교수(서울교대), 정필수 교수(경상대), 지은경 교수(KAIST), 차상길 교수(KAIST), 차수영 교수(성균관대), 채흥석 교수(부산대), 최윤자 교수(경북대), 허기홍 교수(KAIST), 홍장의 교수(충북대)

▣ KCSE 2025 프로그램

  • 1일차: 1월 20일 (월)
  • 2일차: 1월 21일 (화)
  • 3일차: 1월 22일 (수)

▣ KCSE2025 논문상

<일반논문트랙 최우수논문상>

  • RAG 기반 LLM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성과 평가 및 지식 전수 시스템
    박승민, 권령구, 권기현(경기대), 이창율((주)에스피아이디)
  • 현실적인 소프트웨어 디버깅 시나리오에서 대규모 언어 모델의 성능 평가
    박효근, 정호연, 김진대(서울과학기술대)

<일반논문트랙 우수논문상>

  • 거대 언어 모델 기반 소프트웨어 결함 예측을 위한 프롬프트 전략 비교 연구
    홍현선(한국과학기술원), 강종구(성신여대), 류덕산(전북대), 백종문(한국과학기술원)
  • SHAP 및 반사실적 분석을 사용한 TABNET을 통한 소프트웨어 결함 예측의 해석 가능성 향상
    Junaid Khan Kakar, 류덕산 (전북대)

<단편논문트랙 우수논문상>

  • 웹기반 어플리케이션의 라이트 모드와 다크 모드 불일치 자동 탐지
    K C Shweta, 탁병철 (경북대), 김동선 (고려대)
  • 패치 피드백과 조합을 사용한 LLM 기반 다중 함수 프로그램 정정
    Aslan Abdinabiev, 정은서, 이병정 (서울시립대)
  • Software Process 내에서 AI 지향 요구 공학 적용한 사례
    진예진, 서채연 (홍익대), 공지훈 (툰스퀘어), 김기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김영철 (홍익대)

<산업체논문트랙 우수논문상>

  • 멀티모달 EO/IR 객체 인식 모델을 통한 방산 분야의 효율적인 객체 탐지 시스템 개발
    이로사, 김연수, 송진모(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학부생논문트랙 우수논문상>

  • 소프트웨어 결함 예측에서 대형 언어 모델의 활용:   범용 모델과 프로그래밍 전용 모델의 성능 평가
    박지민, 이선구, 백종문 (한국과학기술원)
  • 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IoT 침입 방지 시스템
    방수진, 윤유준, 장성원, 조은희, 이광재 (상명대)
  • YOLOv11 기반 고추 자동 수확 로봇 시스템: 성숙도 판별 및 최적 파지점 검출 알고리즘
    양다은, 안선우, 이은주 (한양대 ERICA)

▣ 후원업체

□ 공고 일정: 2024. 11. 26.(화) ~ 12. 10.(화)

□ 초빙분야 : 컴퓨터 소프트웨어 전분야

□ 지원서 온라인 접수: 2024. 12. 1.(이일) ~ 12. 10.(화)

□ 추가 자격 요건

  • 컴퓨터그래픽스/영상처리 제외

□ 연구실적 자격 조건: SCI(E) 등재 국제 학술지 제 1저자 2편 이상을 포함하여 SCOPUS등재지 이상의 국제 학술지에 200%이상의 주저자 논문 발표 실적이 있는자

(단, 한국 연구재단 BK21 사업 Computer Science 분야 우수 국제 학술대회 논문도 SCI(E) 등재 국제 학술지로 인정)

  • 편수 : D급 이상 2편 이상
  • 실적 : D급 이상 200% 이상

□ 지원서 접수 사이트 : https://all.jbnu.ac.kr/adm/recruit/index.do

□ 문의처: 063-270-2086 (교무처교무과), 063-270-4541(소프트웨어공학과 학과사무실)

※ 공개초빙 절차 진행 상황에 따라 일정 변동 가능성이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자세한 사항은 전북대학교 홈페이지의 공고 및 세부심사기준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공고 일정: 2024. 9. 26.(목) ~ 10. 10.(목)

□ 초빙분야 : 컴퓨터 소프트웨어 전분야

□ 지원서 온라인 접수: 2024. 10. 1.(화) ~ 10. 10.(목)

□ 추가 자격 요건

– 컴퓨터그래픽스/영상처리 제외

□ 연구실적 자격 조건: SCI(E) 등재 국제 학술지 제 1저자 2편 이상을 포함하여 SCOPUS등재지 이상의 국제 학술지에 200%이상의 주저자 논문 발표 실적이 있는자

(단, 한국 연구재단 BK21 사업 Computer Science 분야 우수 국제 학술대회 논문도 SCI(E) 등재 국제 학술지로 인정)

– 편수 : D급 이상 2편 이상

– 실적 : D급 이상 200% 이상

□ 지원서 접수 사이트 : https://all.jbnu.ac.kr/adm/recruit/index.do

□ 문의처: 063-270-2086 (교무처교무과), 063-270-4541(소프트웨어공학과 학과사무실)

※ 공개초빙 절차 진행 상황에 따라 일정 변동 가능성이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자세한 사항은 전북대학교 홈페이지의 공고 및 세부심사기준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상남도 거점국립대학인 경상국립대학교 IT공과대학 소프트웨어공학과(2024년 IT공과대학 신설)에서는 AI소프트웨어분야에서 교육, 연구, 산학협력을 이끌어 갈 우수 교원을 초빙합니다. 본 학과의 전신인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부는 2021년-2022년 이공계열 학과평가 최근 2년 연속 1위를 받은 학과로 우수한 교원과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원의 경우, 항공우주소프트웨어공학 분야에 특화된 핵심교과과정을 운영 중이며, 동시에 소프트웨어 교원을 중심으로 4단계 BK21의 AI융합공학과를 운영하여 우수한 석박사 연구인력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울산-경남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으로 신진교수 연구 인프라 구축을 위한 개인 2억원 이내의 연구실 구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타 빅데이터 혁신융합인재, 항공-드론 혁신융합인재 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향후 항공우주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를 융합하는 AI 소프트웨어분야에서 교육, 연구, 산학협력을 열정적으로 주도할 전문가 분들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환영합니다.

□ 채용분야: AI소프트웨어 전분야 1명
□ 지원조건: 접수마감일 기준 3년 이내에 발표한 연구실적물로서 SCIE 논문 게재 실적이 200% 이상(주저자 논문 2편 이상 포함)인 사람. 단, BK 우수학술대회를 포함하여 IEEE, ACM, 또는 USENIX 학술단체가 주관하는 국제학술대회 구두 발표 논문은 SCIE 논문과 동일하게 취급함

□ 지원서 접수: 2024년 10월 24일(화) ~ 11월 9일(목) 18:00
– 수기로 제출하는 서류는 없고, 모든 서류는 시스템에 입력하고 탑재 요망

□ 지원서 제출 홈페이지: https://ais.gnu.ac.kr/jsp/APR/apply.jsp
□ 초빙 공고: https://www.gnu.ac.kr/main/na/ntt/selectNttInfo.do?nttSn=2205702&mi=1129

□ 주요 일정
– 2023년 11월 9일(목) 18시: 인터넷 접수 마감
– 2023년 12월 18일(월) ~ 22일(금): 공개 세미나
– 2024년 1월 8일(월) ~ 10일(수): 외국어 구사능력검증 및 면접심사
– 2024년 1월 12일(금): 최종합격자 발표

□ 학부 소개: https://www.gnu.ac.kr/anse/main.do
□ 문의
– 항공우주및소프트웨공학부 강혜진 조교 (it@gnu.ac.kr 055-772-1370)
– 항공우주및소프트웨공학부장 김재호 교수 (jaeho.kim@gnu.ac.kr)

1. 초빙분야 및 인원
– 학부: SW대학 컴퓨터공학부
– 초빙분야: 소프트웨어공학
– 초빙인원: 1명
 
2. 지원자격
(공통조건)
– 해당 초빙 관련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 사립학교 교원 임용에 결격사유가 없고, 병역을 필하였거나 면제된 자
– 공통 지원 자격과 학부에서 요구되는 세부 자격 기준을 모두 충족한 자 (추가사항)
– 영어강의 가능자
– 초빙공고일 기준 최근 4년간(2019. 5. 10. ~ 2023. 5. 23.) 전문학술지 게재실적 100%이상
[지원자격 논문실적 산출시 국제전문학술지(SCIE, AHCI, SSCI, SCOPUS) 및 국내전문학술지(등재후보지 제외)에 한하며, 최종학위논문은 제외]
 
3. 지원서 접수
가. 인터넷(온라인) 접수
– 지원서 접수(온라인): 2023.5.10(수) 13:00 ~ 2023.5.24.(수) 14:00
– 서류 접수(방문 또는 우편): 2023.5.24.(수) 14:00까지 도착 분
서류 접수처: (우15073) 경기도 시흥시 산기대학로 237(정왕동) 한국공학대학교 행정동 101호 교무팀 교원인사담당자
[전화: 031-8041-0012/ E-mail: Lsb8808@tukorea.ac.kr]
나. 접수 방법
– 채용사이트에서 지원서(기본사항, 학력, 경력, 연구실적 등) 작성 제출
(채용사이트(https://apply.tukorea.ac.kr)접속 → 해당교원 메뉴 클릭 → 지원분야 선택 → 지원하기 메뉴 선택 → 이메일주소/비밀번호 입력 → 신규지원 버튼 클릭)
– 지원서 접수를 완료한 지원자는 서류 접수일까지 지원서와 연구실적물을 지참하여 우편제출 또는 방문제출
 
다. 인터넷 공지: https://bit.ly/423XxbM
 
* 학부 문의: 이상호 교수 (010-5651-0424, sangho@tukorea.ac.kr)

KAIST에서 다음의 3분야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박사후연구원 2명을

경북대 SW재난연구센터의 지원으로 모집합니다.

– 소프트웨어 동적 테스팅

– 소프트웨어 정적 분석

– 프로그래밍 언어

자세한 사항은 카이스트 김문주 교수(moonzoo.kim@gmail.com) 또는 경북대학교 최윤자 교수(kaisertoto@gmail.com) 으로 문의 바랍니다.

 

 

ICSE 2020, KIP 프로그램 안내

 

안녕하세요.  

ICSE 2020 행사중 오프라인 미팅으로 진행하는 행사가 7 6() 1시부터 5시까지

양재동 aT 센터에서 개최됩니다.

 

https://2020.icse-conferences.org/track/icse-2020-korean-co-located-events#KIP

 

KIP 프로그램은 한국 기업에서의 소프트웨어공학의 적용 기술에 대한 소개의 워크샵입니다.

많이 참석하셔서 좋은 스토리 들으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30명 정도의 규모로 진행하려고 하는데아직 등록이 많이 미흡한 것 같습니다.

온라인으로는 6 30일까지오프라인으로는 현장 등록이 가능합니다.

 

ICSE 2020 main conference와는 별도의 등록으로 진행됩니다.

앞의 링크에서 등록 링크를 따라 가시면 됩니다.

Virtual 이 아닌 현장 미팅의 잇점도 느껴 주시기를 바랍니다.

철저한 방역 관리와  안심 거리 두기로 진행되오니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ICSE 2020 K-CLE Co-Chair 홍장의 드림.

The 27th IEEE International Requirements Engineering Conference (RE’19)

September 23-27, 2019,
Ramada Plaza jeju Hotel
Jeju, Korea
http://re19.ajou.ac.kr/
[CFP]

Registrationhttp://re19.ajou.ac.kr/pages/registration/registration/

Conference Overview

The 27th IEEE International Requirements Engineering Conference (RE’19) is the premier international forum for researchers, practitioners, educators, and students to present and discuss the most recent innovations, experiences, and concerns in the discipline of requirements engineering. RE’19 will offer an extensive program of interest to academia, government and industry. It will include several distinguished keynote speakers and three conference days full of papers, panels, posters and demos. A series of exciting tutorials to develop skills in and advance awareness of requirements engineering practices is of particular interest to industry. Two days of workshops as well as doctoral symposium offer forums for participants to present cutting-edge techniques and approaches in particular fields.